본문 바로가기

경매 공부 노트/경매 기초 지식 & 용어 정리12

[전주 우미아파트 경매] 중복사건이란? (2024타경40309) 쉽게 설명해드려요 [경매 용어 정리] 중복사건이란? 전주 우미아파트 사례로 쉽게 설명해 볼게요. 😄 📌 전주 우미아파트 경매 사례로 살펴보는 ‘중복사건’ 개념! 경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 설명부터 실거래가 비교, 입찰 주의사항까지 정리해 봤습니다.오랜만에 경매 사이트에 들어가서 그동안 좀 쉬어뒀던 임장 리스트를 다시 정리해보고 있었어요. 몇 개 물건을 훑어보던 중, 익숙한 아파트가 눈에 띄었고 그 옆에 이상한 표시가 하나 있었죠."중복"바로 그 단어였습니다. '이게 무슨 뜻이지?' 괜히 찜찜해서 클릭해 보니 사건번호가 두 개였어요. 📍 20242024 타경 40309 전주지방법원 경매 1계)📍 20242024 타경 40385 중복) 같은 주소, 같은 집, 다른 번호. **'중복사건'**이라는 말 그.. 2025. 4. 8.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6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5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6부에서는 남은 용어들을 정리하고, 경매 절차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실전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표제부란?토지 및 건물의 기본 정보(주소, 면적, 용도 등)를 기록한 등기부의 일부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 나온 건물의 면적과 대지지분을 확인하기 위해 등기부 표제부를 확인합니다.주의할 점: 집합건물(예: 아파트)의 경우, 표제부가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2. 필지란?하나의 지번이 부여된 토지의 단위입니다.예시: A 씨의 토지가 두 개의 지번으로 나뉘어 있다면, 이는 두 개의 필지로 구분됩니.. 2025. 3. 18.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5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4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5부에서도 추가적인 개념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재매각이란?매수인이 대금지급을 기한 내에 완료하지 않아 법원이 다시 경매를 진행하는 절차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서 낙찰받았지만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법원은 해당 부동산을 다시 경매에 부칩니다.주의할 점: 재매각이 이루어질 경우, 최초 낙찰자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몰수됩니다. 2. 저당권이란?채권자가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부동산을 경매할 수 있도록 설정한 권리입니다.예시: A 씨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며 집을 담보로 .. 2025. 3. 17.
대법원 경매 사이트 vs 사설 경매 사이트, 어디를 이용해야 할까? 부동산 경매를 공부하면서 처음 마주하는 고민 중 하나가 대법원 경매 사이트만 봐도 될까? 아니면 사설 경매 사이트도 활용해야 할까? 하는 문제다. 처음에는 사설 경매 사이트의 무료 이용 기간을 활용하면서 정보를 검색했다. 하지만 무료 이용이 끝난 후에는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https://www.courtauction.go.kr/) 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검색이 쉽지 않았고, 내가 알고 있는 경매 물건이 검색되지 않는 경험을 하면서 다시 한번 고민하게 됐다. 이 과정에서 대법원 경매 사이트와 사설 경매 사이트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고, 결론적으로 2주 이내의 경매 정보만 필요하다면 대법원 사이트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좀 더 시간을 들여 자세히 알고 싶다면 사설 사이트도 .. 2025. 3. 16.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4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3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4부에서도 이어서 추가적인 개념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상계란?경매에서 채권자가 동시에 매수인이 될 경우, 매각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대신 채권과 맞비교하여 정산하는 방식입니다.예시: A 씨가 B 씨의 부동산을 경매로 매수하는데, B 씨에게 받을 채권이 있다면, 이를 매각대금과 상계하여 정산할 수 있습니다.주의할 점: 채권자가 상계를 원하면 매각결정기일이 끝날 때까지 법원에 신고해야 하며, 배당기일에 상계 후 남은 금액만 납부하면 됩니다. 2. 새 매각이란?경매가 진행되었으나.. 2025. 3. 16.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3부) 부동산 경매 절차에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앞선 1부와 2부에 이어서, 이번 3부에서는 추가적인 개념과 절차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경매 진행 과정에서 등장하는 용어를 이해하면 낙찰 후 절차를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매각결정기일이란?매각이 이루어진 후, 법원이 최고가매수신고인에게 매각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날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 참여해 최고가매수신고인이 되었다면, 법원은 매각결정기일에 A 씨에게 매각을 허가할지 결정합니다.주의할 점: 법원은 매각법정에서 결정 후 법원 게시판에 공고하지만, 개별적으로 통지하지 않으므로 신경 써서 확인해야 합니다. 2.. 2025.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