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용어6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6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5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6부에서는 남은 용어들을 정리하고, 경매 절차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실전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표제부란?토지 및 건물의 기본 정보(주소, 면적, 용도 등)를 기록한 등기부의 일부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 나온 건물의 면적과 대지지분을 확인하기 위해 등기부 표제부를 확인합니다.주의할 점: 집합건물(예: 아파트)의 경우, 표제부가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2. 필지란?하나의 지번이 부여된 토지의 단위입니다.예시: A 씨의 토지가 두 개의 지번으로 나뉘어 있다면, 이는 두 개의 필지로 구분됩니.. 2025. 3. 18.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5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4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5부에서도 추가적인 개념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재매각이란?매수인이 대금지급을 기한 내에 완료하지 않아 법원이 다시 경매를 진행하는 절차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서 낙찰받았지만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법원은 해당 부동산을 다시 경매에 부칩니다.주의할 점: 재매각이 이루어질 경우, 최초 낙찰자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몰수됩니다. 2. 저당권이란?채권자가 채무를 담보하기 위해 부동산을 경매할 수 있도록 설정한 권리입니다.예시: A 씨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며 집을 담보로 .. 2025. 3. 17.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4부) 부동산 경매에서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절차가 포함됩니다. 앞선 1부부터 3부까지 경매 용어를 정리해 왔으며, 이번 4부에서도 이어서 추가적인 개념들을 설명하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상계란?경매에서 채권자가 동시에 매수인이 될 경우, 매각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대신 채권과 맞비교하여 정산하는 방식입니다.예시: A 씨가 B 씨의 부동산을 경매로 매수하는데, B 씨에게 받을 채권이 있다면, 이를 매각대금과 상계하여 정산할 수 있습니다.주의할 점: 채권자가 상계를 원하면 매각결정기일이 끝날 때까지 법원에 신고해야 하며, 배당기일에 상계 후 남은 금액만 납부하면 됩니다. 2. 새 매각이란?경매가 진행되었으나.. 2025. 3. 16.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3부) 부동산 경매 절차에는 다양한 법적 개념과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앞선 1부와 2부에 이어서, 이번 3부에서는 추가적인 개념과 절차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경매 진행 과정에서 등장하는 용어를 이해하면 낙찰 후 절차를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매각결정기일이란?매각이 이루어진 후, 법원이 최고가매수신고인에게 매각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날입니다.예시: A 씨가 경매에 참여해 최고가매수신고인이 되었다면, 법원은 매각결정기일에 A 씨에게 매각을 허가할지 결정합니다.주의할 점: 법원은 매각법정에서 결정 후 법원 게시판에 공고하지만, 개별적으로 통지하지 않으므로 신경 써서 확인해야 합니다. 2.. 2025. 3. 15. 부동산 경매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정리 및 주의사항 가이드 (2부) 부동산 경매를 공부하다 보면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이번 2부에서는 이어지는 개념들을 계속 정리해 보겠습니다. 앞으로도 추가 용어들을 계속 다룰 예정이니, 경매 절차를 이해하는 데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대법원 경매정보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하며, 낙찰자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공탁이란?채권자의 협력이 없어도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도록 변제 목적물을 법원에 맡기는 제도입니다.예시: A 씨가 B 씨에게 돈을 갚으려는데 B 씨가 수령을 거부하거나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A 씨는 법원에 공탁하여 변제의 책임을 다할 수 있습니다.주의할 점: 공탁은 반드시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일부만 공탁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2. 과잉매각이란?한 채무자.. 2025. 3. 14. 부동산 경매 용어 정리! 초보자가 헷갈리는 개념 쉽게 설명 부동산 경매를 공부하다 보면 처음 듣는 어려운 용어들이 많아요.특히 "배당요구 종기일", "지분 경매", "우선변제권과 대항력 차이" 같은 개념은 초보자들이 헷갈리기 쉬운 핵심 용어죠.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하나 자세히 설명해 볼게요! 😊 1️⃣ 배당요구 종기일이란? (배당받을 권리를 주장하는 마감일!)✔ 배당이 뭘까?부동산이 경매로 팔리면, 그 돈(낙찰가)은 집주인의 빚, 세입자의 보증금, 세금 등을 정리하는 데 사용돼요.이때 누가 먼저 돈을 받을지, 얼마나 받을지 정하는 과정이 바로 **"배당"**입니다.✔ 배당요구 종기일이란?배당을 받고 싶은 사람(예: 세입자, 은행, 세무서 등)은 법원이 정한 마감일(배당요구 종기일) 안에 신청해야 해요.이 날이 지나면, 배당을 받을 권리가.. 2025. 2. 11. 이전 1 다음